객체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 클래스를 실체 클래스라고 한다.
이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춘해서 선언한 클래스를 추상클래스라고 한다.
* 추상 클래스와 실체클래스는 상속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.
* 추상 클래스는 new연산자를 사용해서 인스턴스를 생성시키지 못한다.
- 추상 클래스는 실체 클래스의 공통되는 필드와 메소드를 추출해서 만들었기 때문에
객체를 직접 생성해서 사용할 수 없다.
- 추상 클래스는 새로운 실체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 부모 클래스로만 사용된다.
* 추상 클래스의 용도
1. 실체 클래스들의 공통 필드와 메소드의 이름을 통일
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을 헷갈리지 않게 하나로 통일
ex) 같은 의미로 사용되나 다른 필드명: user, owner 이렇게 분리되어있다면 user로 통일
2. 실체 클래스를 작성할 때 시간을 절약
* 추상 클래스 선언
public abstract class 클래스 {}
* 추상 메소드와 오버라이딩
- 추상 메소드 : 메소드의 선언부만 있고메소드 실행 내용인 중괄호{}가 없다.
자식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메소드를 재정의(오버라이딩)해서 실행 내용을 작성해야하며,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.
'컴퓨터 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.lang / java.util 패키지 (0) | 2021.08.20 |
---|---|
자바 API (0) | 2021.08.20 |
정적 멤버와 static (0) | 2021.08.07 |
변수 리터럴 (0) | 2021.08.06 |
자바 가상기계(JVM) (0) | 2021.08.03 |
댓글